와인 포도 품종별 특징적인 향 정리
와인을 마시다보면 품종별로 주요 특징들은 공식처럼 머리에 숙지하고 있으면,
블라인드 테이스팅 등을 할 때 쉽게 어떤 품종들인지 유추할 수 있습니다.
소믈리에들도 대개 머리속에 담겨 있는 지식을 활용해서 블라인드 테이스트에서
품종을 맞추곤 합니다.
아래 내용은 일반적인 공식처럼 단일 품종에서 맡을 수 있는 향을 정리한 것입니다.
카베르네 쇼비뇽
– 삼나무, 흑연, 블랙커런트 (연필깍이 통의 톱밥에서 나는 냄새)
메를로
– 끝까지 달콤한 붉은 과일향이 이어짐 (딸기 같은 냄새)
시라
– 스윗 스파이시 (후추 같은 매콤한 냄새이나 은근하게 달콤한 느낌, 감초 같은 향)
피노누아
– 붉은 과일, 양배추 삶은 냄새 (체리, 딸기 같은 붉은 과일 냄새가 나며 숙성되면 양배추 삶은 냄새, 고기 냄새가 난다)
카베르네 프랑
– 피망, 줄기, 타닌감, 가벼운 무게감 (가볍고 풋풋한 풀줄기 같은 식물성 냄새가 난다)
네비올로
– 장미, 트러플향
템프라니요
– 나이에 따라 향이 달라짐. 무게감 있는 붉은 과일
산지오베제
– 붉은 과일향이 나면서 허브향.
나이가 들면 끓였을 때 나는 보이차 향
피노타주
– 마굿간 냄새
진판델
– 고가 진판델은 과일을 죽처럼 끓인듯한 느낌, 조린 느낌.
foxy 한 느낌
떼루데고
– 거칠고 촌스러운 느낌
MBA
– 고구마 냄새
캠벨
– 붉은 과일
샤르도네
– 중립적인 Neutral 한 느낌이며
오크숙성 샤르도네는 오크 풍미, 샤블리는 스테인레스 스틸 숙성, 미네랄 풍미
쇼비뇽 블랑
– 잔디, 풀, 구즈베리
리슬링
– 페트롤 향
피노 그리지오
– 녹색 과일향
세미용
– 헛간냄새, 말린 풀, 밀랍, 건초
아르네이스
– 그린스톤 (햇 복숭아 등의 핵과류)
뮈스카
– 달콤한 열대과일
청수
– 개복숭아, 고구마
사이넬
– 주로 블렌딩으로만 쓰임